재미있는 동양3국의 젓가락 문화비교
콘텐츠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재미있는 동양3국의 젓가락 문화비교

재미있는 동양3국의 젓가락 문화비교

[조인스 블로그] 입력 2012-05-19

재미있는 동양3국의 젓가락 문화비교
 
 
식사 도구로 문화권을 한번 분류해 보면, 손으로 음식을 먹는 수()식 문화권(동남아시아·중근동·아프리카)이 약44%가장 많고, 나이프나 포크를 사용하는 커트러리(Cutlery) 문화권(유럽·미국·러시아)28%, 젓가락을 사용하는 저()식 문화권(일본·중국·한국·베트남·타이·싱가폴)은 세계의 약 28%라고 한다.

그러나, 젓가락 식생활 문화권에서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세트로 사용하는 것이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대부분이다.

 

한중일 젓가락.jpg

 

원래 젓가락만의 식사법은 일본 독자적인 스타일이며, 일본은 하나의 젓가락 단독 식문화권 이라고 할 수 있다.

 

 


저문화1.jpg
 
매일 식탁으로 사용하는 젓가락은 아시아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자주 보기 위해서, 젓가락에 주목하는 사람은 적지만, 세계각지에는 각각의 독특한 발전 과정과 문화가 있다.
 
일본의 젓가락
1, 일본에서 탄생한 나무 젓가락
일본의 젓가락이라고 하면, 일본에서 탄생한 나무 젓가락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나무 젓가락은 라면집등이 각양각색인 레스토랑에서 눈에 띤다. 일반적으로는 네모지지만, 둥근 것도 있다.
 
저문화2.jpg
 
2, 일본의 새해축하 젓가락
일본에서는, 새해에 축하하는 젓가락을 사용하는 전통이 있다. 매년 섣달 그믐날에 가족의 이름을 각각 젓가락자루에 쓰고, 젓가락을 넣어서 제물상에 제사 지낸다. 새해가 밝으면 이 젓가락을 사용한다. 젓가락은 스스로 씻고, 정월초하루부터 7일까지 사용한다.  
 
환경보호 때문에, 일본인은 될 수 있는한 나무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 밖에, 「자신의 젓가락」을 사용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또, 휴대에 편리한 젓가락도 등장하는 등 일본 젓가락은 발전하고 있다.

일본의 젓가락이 용도에 따라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젓가락을 주로 사용하는 식문화이기 때문인 것이다. 참 종류도 다양한 일본의 다양한 젓가락을 한번 살펴보자.

대나무로 만들어진 젓가락(죽저), 흑단이나 자단 등으로 만든 나무젓가락(목저),나무에 옻칠을 여러 번 덧발라 완성한 옷칠 젓가락, 설날 차례상에 이용하는 동나무의 두꺼운 축하용 젓가락, 요리할 때 사용하는 채 젓가락, 버드나무를 둥글게 깎은 두꺼운 떡국젓가락, 숯불 등의 위에 올려놓는 금속제 부젓가락,양 끝을 가늘게 깎은 삼나무 젓가락, 사용할 때 두 개로 나누어 사용하는 나무젓가락 등이 있다.                                    


 
저문화3.jpg
 
중국에는 자신전용의 젓가락이 없다
일본에서는, 가족 모두가 자신전용의 젓가락을 가지고 있지는 반면, 중국에 이러한 습관은 없다. 중국인은 같은 디자인의 젓가락과 식기를 사용한다. 자신의 젓가락을 가족이나 손님에게 사용시키는 것은, 관계의 친밀함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의 젓가락의 앞쪽은 일본의 젓가락보다 둥글다.
 
중국의 음식은 주로 기름을 많이 써서 만드는 볶음요리이다. 그래서 음식들이 미끄럽고, 아주뜨겁다. 열 전도가 잘되는 것들을 이용해서는 먹기도 힘들 뿐더러 금속 젓가락이나 금속 수저를 이용하면 먹기 너부 힘들다. 중국의 탕은 우리나라의 국물 음식과는 달리 기름지고, 걸쭉하다. 그래서 수저는 안이 깊다. 우리의 수저와는 달리 중국의 수저는 입술을 대고 마시는 용도로 사용된다. 중국은 많은 사람들이 둘러 앉아 같이 식사를 하는 대중 식사 방식이다. 가족이 아니라 같이 일하는 사람들도 같이 모여 삥 둘러 앉아 식사를 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식이다. 멀리 있는 음식을 집기 편하도록 젓가락은 자연스럽게 길게 만들어졌다.

 
저문화4.jpg

한국의 젓가락이 금속제인 이유
한국에서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자주 금속제의 젓가락을 사용한다. 우리는 무거운(최근 청동이 귀하여 스텐 젓가락으로 대체)젓가락을 사용하는것은 최근이 아니고 몇 천년정도 부터였다. 삼국유사에 보면 부여때도 황동젓가락이 나오고 고구려 장군총에 유물에 항동젓가락이 즉 철기시대이전인 청동기 시대 문화임을 유물로 입증된것이다.

이런 엄청난 중량을가진 도구를 몇천년동안 사용해 온 민족이다. 청동으로된 젓가락으로 밥알부터 멸치조각 김한장을 거뜬히 집어내는 기술을 가진 민족이다. 중국과 일본과는 음식문화 식관습이 다르다. 밥그릇을 들고 퍼먹는 일본처럼하면 쌍놈이라하여 욕얻어 먹고 밥그릇을 손에 잡아도 안되며, 숫가락들때는 젓가락을 놓고 하는 반복운동을 식사끝날 때까지 한다. 일본은 된장국을 그릇채 들고 마시는것이지만 우리는 국그릇 들고 마시면 어른들로부터 볼기짝이 터질것이다.
 
 
저문화5.jpg

우주에서 사용하는 젓가락
우주에서는, 식사에 젓가락을 사용하는 분이 편리하다. 구미 출신의 우주 비행사도 젓가락으로 카레를 먹는다. 무중력상태에서 액체는 고체가 되기 때문에, 국제우주스테이션의 스탭은 젓가락을 사용해서 홍차를 마신다. 젓가락은 아시아뿐만 아니라, 우주에도 널리 퍼져 있다.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두뇌발달을 촉진한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젓가락을 사용하게 되면 손가락 관절 하나하나를 모두 포함하여 30여 개의 관절과 60여 개의 근육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신경을 타고 대뇌를 자극하여 뇌세포를 발달하게 한다. 또한 우리가 콩자반의 콩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즉 젓가락을 사용하여 작은 물건을 들어올 릴 수 있는  협응력이나 근육을 조절하는 능력, 집중력 등이 높아지기도 한다.


 

집중력과 관련하여 2005 EBS 다큐멘터리 교육이 미래다 두뇌전쟁의 비밀, 편에서 흥미로운 실험을 공개하였다. 4명의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에게 나무젓가락과 쇠 젓가락, 포크를 사용하여 한 쪽에 놓여있는 강낭콩을 다른 접시로 옮기게 하고 이 때 일어난 뇌파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정서와 기억력을 담당하는 우측 측두엽의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포크를 사용했을 때에 비하여 쇠 젓가락을 사용하였을 때 뇌가 30% 이상 더 활성화가 되었으며, 나무젓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포크를 사용한 것에 비해 20% 이상 더 활성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011년 1월4일 미국애리조나 총기사고로 피격된 여성하원의원 지포드의원이 뇌수술을 집도한 의사가 한국계 피터 리 박사이다 병원장이 언론과 인터뷰한내용중 엄청난 발표를하였다. "우리병원에서 피터 리 박사에게 집도를 의뢰한것은 그의 의술도 상당한 실력이지만 그들이 갖는 손가락 놀림은 어떤 민족도 따를수없는 능력을 갖고 있기에 그에게 집도를의뢰하였다 한국인들의 젓가락문화가 중요한 수술 특히 뇌신경부분에는 가장 민감하고 예리한 부분까지 집어낼수있기때문이다" --라고 발표했다

젓가락문화를 인정한 세계최고 의술들이다 손가락끝에서 뇌신경까지 인체 모든 자율신경을 정리하고 자극하고 복합적인 역활을 하는데 젓가락문화만큼 좋은게 없다는 선조들의 지혜이다

 

* 블로그뉴스 게시물은 중앙일보 편집 방향 및 논조와 다를 수 있습니다.
| Today 방문 : 0
eskang님의 블로그
블로그 주소 : http://blog.joins.com/eskang/12803159

eskang님의 최신 글